대중교통으로 출퇴근하시나요?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20%~53%까지 돈을 돌려주는 교통카드가 있습니다. 연간 17~44만원 교통비를 환급받을 수 있는 대중교통 KPASS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1. 대중교통 KPASS 환급액 및 환급조건
월 15회 이상 버스, 지하철을 이용하게 되면 이동거리와 무관하게 대중교통비의 20% ~ 53%를 돌려받을 수 있으며, 최대한도는 월 60회입니다.
알뜰교통카드 | 대중교통 KPASS |
이동거리와 비례하여 마일리지 환급 | 이용회수 15회 이상시 환급(최대 60회) |
2. 대중교통 KPASS 혜택
일반인, 청년, 저소득층으로 나뉘어 환급금액이 달라지며 현금, 마일리지 카드공제 등 다양한 방식으로 다음 달 환급됩니다.
1) K패스 적립률
가. 일반인 : 20%
나. 청년 : 30%
다. 저소득층 : 53%

2) K패스 환급금 계산방법
매월 대중교통비로 평균 7만 원을 지출하는 분은 대중교통 KPASS를 이용한다면 다음과 같이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.
가. 일반인
- 1년 총 환급액 : 168,000원 환급
- 7만 원(월) X 20% = 14,000원
- 14,000원 X 12개월 = 168,000원
나. 청년
- 1년 총 환급액 : 252,000원 환급
- 7만원(월) X 30% = 21,000원
- 21,000원 X 12개월 = 252,000원
다. 저소득층
- 1년 총 환급액 : 445,200원
- 7만원(월) X 53% = 37,100원
- 37,100원 X 12개월 = 445,200원
3. 대중교통 KPASS 적용 대상 및 도입시기
대중교통 KPASS를 참여하지 않는 40개 지역이 있으니 꼭 확인하고 대중교통 KPASS를 신청하시기 바랍니다.
1) 지역 : 전국 어디서나 사용가능
2) 대중교통 범위 : 모든 대중교통 사용가능 (일반 시내버스, 광역버스, 지하철, 민자지하철(신분당선), GTX)
3) 대중교통 KPASS 도입시기 : 5월부터 시행예정
4) 환급방식 : 다음 달 이용자에게 직접 환급 (현금, 마일리지 등)

4. 대중교통 KPASS 발급방법
K패스 발급 방법은 알뜰교통카드 전환과 신규 발급으로 나뉩니다.
1) 알뜰교통카드 사용자 발급방법
- 기존 발급받은 교통카드 그대로 사용하고, K-패스로 회원전환절차를 거치면 됩니다.
- 2024년 2월부터 알뜰교통카드 어플을 통해 회원전환이 가능합니다.
2) 신규 이용자 K-패스 발급방법
가. K-패스 공식 누리집(korea-pass.kr)
나. 모바일 애플리케이션
다. 11개 카드사의 교통카드 상품을 선택하여 K-패스 이용가능
3) K-패스 추가 할인 방법
- 카드사의 추가 할인혜택(최대 10%)을 고려하면 교통비 절감을 많이 할 수 있습니다.
- 카드사 : 신한, 하나, 우리, 현대, 삼성, BC, 국민, 농협, 티머니, 이동의 즐거움, DGB유페이
5. 마무리
1월부터 기후동행카드가 발급되면서 다양한 대중교통 카드들이 나오고 있습니다. 선거와 맞물려서 이런 정책들이 나오고 있기는 하지만, 국민들은 다양한 정책이 나오고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다면 좋은 정책이라고 생각합니다.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출퇴근, 통학을 하시는 분들은 K-패스 신청하셔서 혜택 받으시면 좋겠습니다.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주민등록등본 인터넷발급 PDF 저장방법 (0) | 2024.02.10 |
---|---|
소상공인 지식배움터 전자도서관 교보문고 이용하기 (0) | 2024.02.01 |
청년도약계좌 환승 조건 확인하고 신청하러가기 (1) | 2024.01.29 |
신생아 특례대출 대환 및 실거주 조건 알아보고 신청하기 (3) | 2024.01.26 |
메이플자이 일반분양 및 청약일정 (5) | 2024.01.22 |
도시가스 캐시백 신청하기 (2) | 2024.01.16 |